본문 바로가기
자재

동바리란? 종류부터 시공기준, 시스템 동바리까지 총정리

by ambition civil 2025. 7. 23.

서포트로 불리는 이른바 동바리는 건설 현장에서 거푸집과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콘크리트가 설계 강도를 얻을 때까지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임시 지지 구조물입니다.  주요 용도는 슬래브, 보, 기둥 등 다양한 구조물의 시공 시 하중을 안전하게 지반으로 전달하는 데 있습니다. 슬래브등을 타설시 중간에 붕뜨는 부분은 동바리가 거푸집을 잡아줌으로서 타설할수 있게되죠.


동바리의 종류

구조 형식에 따라

  • 조립형 동바리: 수직재, 수평재, 경사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 구조적으로 유연하며 다양한 현장에 적용 가능.
  • 강관틀 동바리: 수직재와 수평재 등이 공장에서 일체화되어 제작, 높은 내하력과 신속한 시공이 특징.
  • 강재 동바리: 대구경 강관이나 H형강 등 중량 구조재를 주부재로 사용. 대형 구조물에 적합.
  • 혼합형 동바리: 위 모든 방식을 현장 조건에 따라 혼합 적용.

시공 방식에 따라

  • 전체지지식 동바리: 구조물을 전 구역에 걸쳐 동바리로 하중 지지. 중·소규모 교량이나 낮은 공간에서 사용.
  • 지주지지식 동바리: 대형 지주(예: 강관, 형강)를 이용해 하중을 직접 지반에 전달. 교량 높이가 클 때 사용.
  • 거더지지식 동바리: 조립거더를 통해 하중을 교각이나 기초로 전달. 지반이 약하거나 교량이 높을 때 사용.

주요 자재별 동바리 특징

  • 목재 동바리: 경제적이나 내구성, 정밀성, 반복 사용성이 떨어짐.
  • 강관 동바리: 내하력과 재사용성이 뛰어나 대다수 현장에서 사용.
  • 알루미늄 동바리(알폼): 경량화되어 운반·조립이 쉽고, 내구성도 우수함.
  • 파이프 서포트(잭서포트):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넓은 면적 혹은 고하중 지지에 적합.

강관 동바리 설치 및 해체 품과 표준시장단가입니다. 

2525년 건설공사 표준품셈
2025년 상반기 표준시장단가


시스템 동바리

시스템 동바리는 기성품 부재(수직재, 수평재, 가새재 등)를 공장에서 정밀하게 제작해, 현장에서 신속하게 조립·해체할 수 있도록 한 구조화된 동바리입니다.

특징

  • 고층, 대면적, 중량 구조물 시공에 적합
  • 조립식으로 공사 기간 단축, 품질 균등화, 안전성 향상
  • 4m 이상 설치 시 시스템동바리 필수 적용, 5m 이상 구조계산 및 구조기술사 검토 필요

시스템 동바리 설치 및 해체 품과 표준시장단가 입니다. 

2525년 건설공사 표준품셈
2025년 상반기 표준시장단가


동바리 설치 기준 및 주요 규격

  • 동바리 설치 높이: 원칙적으로 ‘단변의 3배 이하’로 제한하며, 초과 시 전도 방지 조치 필수.
  • 수평재 설치: 슬래브 두께 0.5m 이상 시, 상·하단 400mm 이내에 수평재 설치.
  • 4m 초과 시 수평연결재: 4m마다 2방향 수평 연결재.
  • 간격: 구조검토서 및 설계 도서 기준. 표준시장단가 적용 시 멍에 간격에 따라 계수 차등 적용됨.
  • 지반 및 받침: 침하 방지를 위해 콘크리트 타설, 두께 45mm 이상 깔목, 받침판 등 사용.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시행 2025. 7. 17.] [고용노동부령 제448호, 2025. 7. 17., 일부개정]

 제332조의2(동바리 유형에 따른 동바리 조립 시의 안전조치) 사업주는 동바리를 조립할 때 동바리의 유형별로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각 목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1.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 서포트의 경우

가. 파이프 서포트를 3개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

나. 파이프 서포트를 이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이을 것

다. 높이가 3.5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이 2미터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2.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틀의 경우

가. 강관틀과 강관틀 사이에 교차가새를 설치할 것

나. 최상단 및 5단 이내마다 동바리의 측면과 틀면의 방향 및 교차가새의 방향에서 5개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설치하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다. 최상단 및 5단 이내마다 동바리의 틀면의 방향에서 양단 및 5개틀 이내마다 교차가새의 방향으로 띠장틀을 설치할 것

3. 동바리로 사용하는 조립강주의 경우: 조립강주의 높이가 4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이 4미터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설치하고 수평연결재의 변위를 방지할 것

4. 시스템 동바리(규격화ㆍ부품화된 수직재, 수평재 및 가새재 등의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주 형식의 동바리를 말한다)의 경우

가. 수평재는 수직재와 직각으로 설치해야 하며,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할 것

나. 연결철물을 사용하여 수직재를 견고하게 연결하고, 연결부위가 탈락 또는 꺾어지지 않도록 할 것

다. 수직 및 수평하중에 대해 동바리의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조립도에 따라 수직재 및 수평재에는 가새재를 견고하게 설치할 것

라. 동바리 최상단과 최하단의 수직재와 받침철물은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수직재와 받침철물의 연결부의 겹침길이는 받침철물 전체길이의 3분의 1 이상 되도록 할 것

5. 보 형식의 동바리[강제 갑판(steel deck), 철재트러스 조립 보 등 수평으로 설치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를 말한다]의 경우

가. 접합부는 충분한 걸침 길이를 확보하고 못, 용접 등으로 양끝을 지지물에 고정시켜 미끄러짐 및 탈락을 방지할 것

나. 양끝에 설치된 보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 사이에는 수평연결재를 설치하거나 동바리를 추가로 설치하는 등 보 거푸집이 옆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할 것

다. 설계도면, 시방서 등 설계도서를 준수하여 설치할 것

[본조신설 2023. 11. 14.]


동바리 손율 수량단위

동바리 사용기간별 손율

동바리 수량 단위

동바리의 내역서 단위는 공/m3 으로 표기됩니다.

콘크리트 타설 체적이 수량이 됩니다. 타설 면적에 높이를 곱한 체적에 동바리 몇 공이 필요하느냐 입니다.

  • 강관 동바리(시스템/조립식 포함):
    • 일반적으로 공㎥ 또는 10공㎥ 단위로 산출합니다.
    • 여기서 공㎥란, 설치공간의 체적을 의미하며 일반적인 콘크리트(m³)와 달리 설치 공간을 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 물량이 큰 경우에는 **10공㎥**를 기본 단위로 적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목재 동바리:
    • 보통 체적(m³) 단위로 산출하며 필요한 부위의 전체 체적을 기준으로 합니다.
  • 설치 면적으로 산출:
    • 경우에 따라 면적(m²) 단위로도 산정하며, 이때는 바닥 면적을 기준으로 합니다.

 

설치 공간 체적 기준 산출(강관 동바리 기준)

  • 기본 산출식 : 동바리 설치공간(공㎥) = 설치면적(㎡) × 층고(높이, m) × 0.9
    • 설치면적: 슬래브 등 상부 바닥판의 전체 면적에서 1㎡ 이상 개구부(통로, 챔버 등)는 제외
    • 층고: 상부바닥~하부바닥 간의 순수하는 높이
    • 0.9(90%): 기둥, 벽체 등 구조체가 차지하는 부분 약 10%를 가감하여 실질적으로 동바리가 설치되는 체적만 산정

설치 및 시공 시 유의사항

  • 지반상태 확인 및 침하 방지
  • 전도, 좌굴, 뒤틀림 방지 및 구조안전성 검토
  • 수직 및 수평도 유지
  • 연결부, 고정상태, 안전시설(추락·낙하 재해방지망 등) 확보

기타용어

  • 멍에 : 장선과 직각방향으로 설치하여 장선을 지지하며 거푸집 긴결재나 동바리로 하중을 전달하는 부재
  • U헤드 : 멍에에 가해진 하중을 동바리로 전달하기 위하여 동바리 상부에 정착하여 사용하는 U 형태의 연결 지지재
  • 가새재 : 시스템동바리의 구성부재로, 수평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주로 축력이 지배적인 구조부재
  • 폼행거(form hanger) : 콘크리트 상판을 받치는 보 형식의 동바리재를 영구 구조물의 보 등에 매다는 형식으로 사용하는 부속품

요약

동바리는 거푸집 작업의 안전성과 품질 확보를 위해 필수적인 지지 구조물로, 그 종류와 구조는 현장 조건, 구조물 하중, 시공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 및 혼합 적용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신속한 시공과 구조 안전이 중요한 현장에서 시스템 동바리의 도입이 늘고 있으며, 설치에 앞서 정확한 구조 검토와 안전관리, 적정 단가 산정이 필수적입니다